cloud에서 git 사용하기
git에 대한 설명은 생략
인터넷에 너무도 많아서..^^
docker를 통해 ubuntu를 실행할 수 있었다.
개발환경 또는 프로젝트 파일을 사용할 수 있는 단계까지 되었다..
그런데, 이런 환경을 여러게 가지고 있을 때, 특히 코드 수정이 발생하면,
매 모든 서버에 접속하여 코드를 수정해야한다..
코드 자체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도 있다.
그걸 방지하기 위해 코드를 저장소에 저장을 하고,
서버에서는 그 코드를 정기적으로 다운 받도록 설정해 두면, 자동으로 코드를 업데이트 적용할 수 있다..
오늘은 서버에 git을 설치하고, 환경 설정하도록 하겠다.
docker ubuntu로 접속한다.(아래 링크는 참고)
cloud VM에 ubuntu docker를 설치하는 방법
cloud VM에 ubuntu docker를 설치하는 방법 AWS, GCP, Azure, 그리고 Oracle 등에 Linux VM을 할당 받을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선 추가 기회가 있음 자세히 다루도록 하고, 오늘은 cloud 서버에 ubuntu doc..
shyash.tistory.com
ubuntu에서 git 설치하는 방법
apt-get install git
위의 명령어로 설치가 되지 않고 update 등의 오류가 발생한다면, 다음 명령을 수행한다.
apt-get update
완료 후 설치가 잘되었는지 확인하고자 다음 명령을 수행해 본다.
git --version
버전 표시가 되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원격 저장소를 사용하여 소스를 관리할 수도 있고,
local에서만 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다음은 원격 저장소에 소스를 관리하는 내용을 추가하였으니 참고 바란다.
- Git global setup
git config --global user.name "원격저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원격저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메일"
- Create a new repository
git clone 원격저장소주소/원격저장관리이름.git
cd 원격저장관리이름
touch README.md
git add README.md
git commit -m "add README"
git push -u origin master 원격저장소에 데이터 저장
- Push an existing foldercd existing_folder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주소/원격저장관리이름.git
git add .
git commit -m "Initial commit"
git push -u origin master
- Push an existing Git repository
cd existing_repo
git remote rename origin old-origin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주소/원격저장관리이름.git
git push -u origin --all
git push -u origin --tags
- 저장소 폴더에서 아래 명령 입력 후 저장소 접속 정보를 입력하면, 다음부터는 입력할 필요 없이 로그인된다.
git config credential.helper store
'남편자료방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에서 shell script를 만들어서 사용시 유용한 내용 (0) | 2020.11.30 |
---|---|
[linux] 설치 또는 명령어 입력 후 추가 입력 처리 방법 (0) | 2020.11.26 |
Docker 환경 설정 후 import 및 export (4) | 2020.11.24 |
cloud VM에 ubuntu docker를 설치하는 방법 (4) | 2020.11.23 |
Cloud VM에 docker를 적용 후 sda 용량 100% 문제 (0) | 2020.10.30 |
댓글